We will find a way, we always have.

-interstellar

불변 2

[Rust] 러스트에게 반한 점, immutable & mutable 변수

러스트에선 let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한다.    기본적으로 타입 추론을 해주고, 타입을 명시할 수도 있다.  러스트는 상당히 많은 타입 종류를 가지고 있는데, 이건 다음번에 이야기 해보도록 하고 이 글에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immutable과 mutable이다.  자바를 사용하면서 이런글까지 쓸 정도로 final을 숨 쉬듯 써왔다. 로컬 변수, 파라미터, 필드 등등 붙일 수 있는 변수들에는 전부 final을 붙여왔었는데, 붙이면서도 애매했던 점은 사실 final을 붙여도 불변은 아니라는 것이였다. 재할당은 막을 수 있지만, 그 값 안의 있는 값들이 변경되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.  뿐만 아니라 final을 붙여도 값이 추가되는 것을 막을 순 없다.  위 코드는 문제없이 잘 돌아간다..

[자바] final에 美친놈

서론 우테코 레벨1 때 첫번째 미션이었던 자동차 경주 미션과 마지막 미션인 체스 미션의 main 메서드를 살펴보면 눈에 띄게 달라진 게 있다. 바로 final main의 파라미터인 args에도 final, 로컬 변수에도 final, try catch 문에서 잡은 예외에도 final이 붙어 있다. 제일 처음 꼬신건 :네오:였다. 문자열 덧셈 계산기 피드백 강의를 보는데 코드 여기저기서 final을 볼 수 있었다. 그때부터 이녀석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. 그럼 이제 final이 뭐길래 얘는 필사적으로 final을 붙이려고 하는지 알아보자. 본론 final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는 곳은 여럿 있는데 각각 의미가 다르다. 클래스 상속 제한 메서드 오버라이딩 제한 변수 재할당 제한 여기서 나는 변수에 초점을 두..